@busker 님, 우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:)
현재 askfront.com은 v4 버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.
아직 플러그인 상세 설명에서는, 호환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경고가 뜨나, activepub 기능만 추가되고 큰 변화는 없어서 activepub 관련해서 수동으로 활성화 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하시리라 생각합니다. :)
Global Moderators
Forum wide moderators
게시물
-
nodebb 4.0 공식 출시되었네요 -
[초보 질문] 그누보드6 도커 접속 시 403 에러안녕하세요! 우선 답변이 늦은점 사과드립니다.
새해복 많이 받으세요.아마,
docker-compose.yml
파일로 진행하셨고, 대응하는 host가 없어서 403 오류를 반환하는 것으로 추정되네요.docker compose up -d
하실 때,-f docker-compose-nginx.yml
파라메터를 추가해보시겠어요?docker compose up -d
만 사용하고 파라메터가 없으면, 기본적으로 docker-compose.yml 파일을 사용합니다.고맙습니다.
-
nodebb 잠깐 사용해본 경험담헉 오래되어서 기억이 안나네요. nodebb 자체가 redis를 염두해두고, MongoDB로 옮긴건데 Postgres가 나중에 끼워진 모양새라서요...
https://github.com/NavyStack/nodebb-plugin-dbsearch-korean/blob/master/lib%2Fpostgres.js#L9-L9
기존에 있던 플러그인 커밋을 포크해서 가져온거라, postgres라면 조금 손 봐야할 수도 있습니다.
마찬가지로 개발팀에서도 Postgres는 늦게 업데이트되는 모양새이고, DB관리하는걸 별로 안좋아해서 저는 postgres를 mongodb altas 로 옮겼습니다.
-
nodebb 잠깐 사용해본 경험담앗... 정상입니다.
제가 플러그인 이름 안바꿔서.....정상적으로 설치하셨다면, 검색색인 삭제후 재 색인 해보실래요?
-
WSL2 실제 가상하드디스크 위치는 어디일까? (그리고 vhdx, Optimize-VHD)WSL2 실제 가상하드디스크 위치는 어디일까?
아래의 명령어를 통해서 WSL2 디스트로 이름을 찾습니다.
wsl --list --verbose
NAME STATE VERSION * Ubuntu Stopped 2 docker-desktop Stopped 2
이렇게 나오면
Ubuntu
를 사용하시면 됩니다.아래의 명령어를 통해서 파일 경로를 추출합니다.
디스트로
부분을 내가 원하는 (혹은 위에서 찾은)디스트로
로 바꿔주시면 됩니다.[PowerShell에서]
(Get-ChildItem -Path HKCU:\Software\Microsoft\Windows\CurrentVersion\Lxss | Where-Object { $_.GetValue("DistributionName") -eq "디스트로" } | ForEach-Object { $_.GetValue("BasePath") }) + "\ext4.vhdx"
디스트로의 이름이
Ubuntu
라면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시면 됩니다.[PowerShell에서]
(Get-ChildItem -Path HKCU:\Software\Microsoft\Windows\CurrentVersion\Lxss | Where-Object { $_.GetValue("DistributionName") -eq "Ubuntu" } | ForEach-Object { $_.GetValue("BasePath") }) + "\ext4.vhdx"
C:\Users\navystack\AppData\Local\Packages\CanonicalGroupLimited.Ubuntu_79rhkp1fndgsc\LocalState\ext4.vhdx
늘어날 때는 자동이지만 반환은 아니란다 (vhdx, Optimize-VHD)
WSL2에서는 용량은 제한선 안에서 자동으로 늘어나지만, WSL2에서 용량을 비워도, 가상하드디스크 파일은 줄어들지 않습니다.
따라서 수동으로 줄여주어야 합니다.백업 권장: 작업 전 중요한 데이터는 백업하세요. 비정상 종료나 손상 가능성을 대비해야 합니다.
디스크 축소 조건: WSL2 내에서 가상 디스크를 축소하려면 사용하지 않는 공간이 실제로 존재해야 합니다. 필요 시 WSL2 내에서 다음 명령어로 사용하지 않는 공간을 미리 정리해야합니다.
[WSL2에서]: 시간이 조금 걸립니다. 인내심을 갖고 기다려주세요.
sudo dd if=/dev/zero of=/zero bs=1M
sudo rm /zero
그 다음,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서 WSL2를 종료합니다.
[PowerShell에서]
wsl --shutdown
PowerShell에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여 가상 디스크 파일 크기를 축소합니다.
Optimize-VHD -Path "C:\Users\<YourUserName>\AppData\Local\Packages\<배포판 패키지 이름>\LocalState\ext4.vhdx" -Mode Full
제 환경의 위치는 아래와 같았으므로,
C:\Users\navystack\AppData\Local\Packages\CanonicalGroupLimited.Ubuntu_79rhkp1fndgsc\LocalState\ext4.vhdx
Optimize-VHD -Path "C:\Users\navystack\AppData\Local\Packages\CanonicalGroupLimited.Ubuntu_79rhkp1fndgsc\LocalState\ext4.vhdx" -Mode Full
위와 같이 되겠네요.
실행하시면 사용하지 않는 공간을 반환해서 다시 널널해 집니다.
-
GPT의 선택은 무엇인지 물었어요. (함정주의)@busker https://askfront.com/post/28
여기 참고해보세요~ -
nodebb 잠깐 사용해본 경험담앗 그래요? ㅋㅋㅋㅋ 저도 몰랐던 사실이네요
이미 형태소 단위로 되고 있기는 한데, CJK는 역시 검색이 좀 힘드네요. elastic search 하기 싫어서 간단하게 플러그인 만든거였거든요. 고민해봐야겠습니다.